WINE, 완벽(?) 한글 설정.. Picasa 한글판도 되더라. 우쿠분투/리눅스

** 우분투 13.10 이후.. (2014.01.16)

오래된 이 글을 찾는 분들이 꽤 계신다.
이 방법대로 해도 되지만, 다소 길고 복잡하거니와, 지금은 제대로 작동하지않는 피카사에 관한 내용도 있으므로, 이 글 보다는 다음 글, Wine1.7 한글 글꼴 설정. 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글 하단부에 있던 레지스트리 파일은 오래된 것이라 지금도 잘 되는지 확실치 않기에 삭제했다.




** 우분투 13.04, Wine 1.5.27 에서 해줘야 할 일. (2013.04.11)

다 잘되는 줄 알았더니만, 아직도 따로 해줘야 할 일이 있다.
어떤 프로그램에서는 한글이 제대로 표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이 글 끝에 있는 레지스트리를 받아 적용하면 된다.
아울러, 메뉴 등에 나눔고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바로 아래에 있는 내용대로 입력하면 된다. (MS Shell Dlg, MS Shell Dlg2 를 '나눔고딕' 으로)


** 우분투 12.10, Wine 1.5.26 에서 메뉴 등에 나눔고딕을 적용하려면, (2013.03.30)

아래에 있는 레지스트리를 받아 적용할 필요는 없다. 단지,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Substitutes
에 있는 MS Shell Dlg, MS Shell Dlg2 를 '나눔고딕'으로만 고쳐주면 된다.

다만, 한글이 깨져보일 때는 이 글 끝에 있는 레지스트리를 적용해야한다.


** 우분투 10.10 부터는 고쳐진 것 같다. (2010.10.1)
우분투 10.10 RC 를 설치해보고 Wine 한글관련 부분을 살짝 살펴봤는데,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이 들어가 있었다.
따라서 이젠 굳이 아래처럼 복잡하게 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기본적으로 은돋움 글꼴을 잡아주게끔 되어 있다.
혹시 모르니 아래 글은 그냥 남겨둔다.. 지우기에 아깝기도 하고..


----- 원 문 -------
그동안 와인과 한글에 관한 몇가지 글을 썼었는데..
이제와 생각해보니 다 삽질이었다는 느낌이다.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고 딴 짓만 하고 있었단 것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Prince 형님이 Nothing compares 2 U 를 열심히 불러주고 계신다. 그것도 실황으로!!
이 양반은 도대체 나이를 먹질 않는지, 나이가 들어도 지칠 줄 모르는 정열을 보여준다. 몇 년전에 어떤 포탈사이트에서 이 분 앨범에 관한 정보를 보고 있었는데, 그 아래 달린 댓글중 무지함의 극치를 달리는 것이 있었다.
내용은 대충 이랬다.
'이름이 프린스라? 굉장히 자아도취에 빠진 모양이네요? 신인인 모양인데.. 음악은 괜찮은거 같으니 열심히 해보세요~'

그렇게 글을 올린 철없는 젊은이에게도, 'Nothing compares to you' 는 적용된다. 그 누구도 소중하고, 나도 소중하고..
하잘 것 없는 나이지만, 작은 것이나마 발견한 것이 기특하여 이렇게 글을 올려본다.

와인을 설치(Stable Version 말고, ppa:ubuntu-wine/ppa 를 통해 설치한 최신 판. sudo apt-get install wine1.2 로 설치가능)하고 winecfg 를 최초 실행하면 기본 글꼴이 은궁서로 잡혀나온다. AA도 잘 되어 있지 않아서 거친 글꼴을 볼 수밖에 없다. 늘 깔끔한 굴림글꼴만 봐왔던 눈에는, 마치 70년대 인쇄물을 보듯.. 뭔가 좀 엉성해 보인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굴림체가 설치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EULA를 무시하고 굴림글꼴을 설치하면, 1차적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되는 듯 보인다.
그 다음은 많이들 하는대로, 레지스트리에서 MS Shell Dlg, MS Shell Dlg2 를 Gulim 으로 바꿔주면 2차적인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해도 Picasa(Windows 용)를 설치하면 한글이 무참히 깨져 네모로 표시되는 아픔을 맛봐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Picasa 고, 그외 한글과 문제를 일으키는 프로그램들이 꽤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위에 있는 1/2차 해결책보다는 아래의 방법을 쓰면.. 되는 것 같다.
'된다'라고 100% 확신은 못한다. 다 돌려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만, 내가 주로 쓰는 윈도우용 프로그램들은 다른 설정이 전혀 필요없이 완벽하게 한글이 잘 돌아갔다. 아직까지 깨지는 경우를 본 적은 없다. 그래봤자 한 대여섯개 정도밖에 안돌려봤으니..

아무튼,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굴림이나 바탕글꼴을 설치할 필요는 전혀 없다.

최초 실행, 또는 .wine 디렉토리가 없는 상태에서 winecfg 를 실행한 화면.
위와 같이 은궁서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고, AA도 꺼져 있어서 흉한(?) 모습이다.

이제 하나씩 바꿔보겠다.

먼저, 기존 레지스트리를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을 추가한다. (설정파일(.reg)로 만들어 이 글 끝부분에 올려놓았으니 받아서 레지스트리에 그냥 추가하면 된다. 굳이 입력할 필요는 전혀 없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Link]
"FontLinkControl"=dword:00004000
"FontLinkDefaultChar"=dword:0000300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Link\SystemLink]
"Gulim"=hex(7):75,6e,64,6f,74,75,6d,2e,74,74,66,2c,c0,ba,20,b5,b8,bf,f2,00,4d,\
  53,47,4f,54,48,49,43,2e,54,54,43,2c,4d,53,20,55,49,20,47,6f,74,68,69,63,00,\
  53,69,6d,53,75,6e,2e,54,54,43,2c,53,69,6d,53,75,6e,00,6d,69,6e,67,6c,69,75,\
  2e,74,74,63,2c,50,4d,69,6e,67,4c,69,55,00,00
"Lucida Sans Unicode"=hex(7):4d,53,47,4f,54,48,49,43,2e,54,54,43,2c,4d,53,20,\
  55,49,20,47,6f,74,68,69,63,00,00
"Microsoft Sans Serif"=hex(7):75,6e,64,6f,74,75,6d,2e,74,74,66,2c,c0,ba,20,b5,\
  b8,bf,f2,00,4d,53,47,4f,54,48,49,43,2e,54,54,43,2c,4d,53,20,55,49,20,47,6f,\
  74,68,69,63,00,53,69,6d,53,75,6e,2e,54,54,43,2c,53,69,6d,53,75,6e,00,6d,69,\
  6e,67,6c,69,75,2e,74,74,63,2c,50,4d,69,6e,67,4c,69,55,00,00
"MS Sans Serif"=hex(7):75,6e,64,6f,74,75,6d,2e,74,74,66,2c,c0,ba,20,b5,b8,bf,\
  f2,00,4d,53,47,4f,54,48,49,43,2e,54,54,43,2c,4d,53,20,55,49,20,47,6f,74,68,\
  69,63,00,53,69,6d,53,75,6e,2e,54,54,43,2c,53,69,6d,53,75,6e,00,6d,69,6e,67,\
  6c,69,75,2e,74,74,63,2c,50,4d,69,6e,67,4c,69,55,00,00
"Tahoma"=hex(7):75,6e,64,6f,74,75,6d,2e,74,74,66,2c,c0,ba,20,b5,b8,bf,f2,00,4d,\
  53,47,4f,54,48,49,43,2e,54,54,43,2c,4d,53,20,55,49,20,47,6f,74,68,69,63,00,\
  53,69,6d,53,75,6e,2e,54,54,43,2c,53,69,6d,53,75,6e,00,6d,69,6e,67,6c,69,75,\
  2e,74,74,63,2c,50,4d,69,6e,67,4c,69,55,00,00

위 레지스트리 값은 와인에는 빠져있다. 아마도, 서양권 윈도우에는 포함되지 않은 모양이다. 동양권에만 있는 설정인가 본데, 저 부분이 없어서 한글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16진수 값으로 나와 있어서 바로 알아볼 수는 없지만, 해석을 하자면 이렇다.
FontLink 부분에 있는 첫 두줄은 링크를 하겠다는 설정값인 것 같다. 건드릴 이유도 필요도 없다.
다음 SystemLink 쪽이 우리의 주 관심사이다. Gulim, Microsoft Sans Serif, MS Sans Serif, Tahoma 를 한/중/일 각 글꼴로 어떻게 바꿔칠지를 결정해주는 것이다. 원래 윈도우의 설정값은 저 부분이 모두 굴림체(gulim.ttc,gulim)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을 우리가 보유한 다른 글꼴로 바꿔주면, 굳이 굴림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완벽하게 동작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는 대부분 리눅스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는 '은돋움'글꼴로 모두 바꿔준 것이다. (꼭 은돋움이 아니고 원하는 다른 글꼴로 바꿔주면 된다. 형식은 xxxx.ttf, 글꼴이름. 단, 글꼴이름은 표시되는 그대로 정확히 써줘야 한다. '은 돋움'이 맞고 '은돋움'은 틀리다.)

은돋움으로 바뀐 화면은 다음과 같다.


깔끔하게 바뀐 듯(?) 하다. 이렇게만 해도 한글은 거의 대부분 다른 설정없이도 다 잘 보인다.
그러나.. 다음을 보면,
잘 보면, 화면 오른쪽의 '영상음악' 이란 글씨는 또렷하게 잘 보이지만, 왼쪽 'Directory' 부분에 있는 '영상음악'은 글자가 뭉개져 보인다. AA가 적용이 되지 않은 것이다.
이 부분을 고쳐주기 위해서 두 줄을 또 추가해야 한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FontSmoothing"="2"
"FontSmoothingOrientation"=dword:00000001
"FontSmoothingType"=dword:00000002

아마도 FontSmoothing 값은 2로 이미 들어가 있을텐데, 값이 2가 아니라면 2로(또는 1로) 고쳐준다. 0은 AA를 끄고 안쓰겠단 뜻이다. 1 또는 2는 AA의 정도에 해당하는 모양인데, 1이나 2면 잘 동작했다.
다음 두 줄은 WINE 설정엔 빠져있다. 저 부분이 뭘 의미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두 줄을 추가해준다.

이제 결과를 보면..
왼쪽 부분도 흩어짐 없이 다 잘나온다. 감동이었다..


(추가: 2010.05.23. 현재 Wine 1.2 RC 가 나온 상황인데, 글꼴에 대해 뭔가 조금 바뀐 모양이다. 위 설정에서  FontSmoothingType"=dword:00000002 은 '1'로 바꿔줘야 더 잘보인다. 피카사의 한글 문제는 다시 예전으로 돌아갔다. 즉, 아래 화면처럼 한글이 제대로 보이지는 않는다. 뭔가 다른 방법이 필요할 듯 하다.)


피카사도 잘 되느냐고?
물론이다.
리눅스용 피카사가 아닌 그냥 윈도우용을 설치해도 아무런 설정없이 다 잘나온다.


메뉴도 당연히 한글이고, 폴더 글씨도 다 한글이다. 물론 윈도우용을 설치했으니 버전도 당연히 3.1.0 인데.. 웃기는 건 리눅스용 Picasa 라고 나온다는 것이다. 틀림없이 리눅스용(deb 파일)을 설치한 것이 아니고 윈도우용(exe 파일)을 설치한 건데.. 아마도 피카사 내부에서 WINE 환경을 알아채고 저렇게 표시하는가 보다.

**추가
며칠 전 글을 올렸는데, 오늘 보니 피카사 3.6이 나온 모양이다.
역시 별 이상없이 잘 돌아가는 것 같다. 피카사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편은 아니라서, 뭐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진 모르겠다. 한글 잘 보이고, 깨짐없고, 사진이 웹으로도 잘 올라가는 정도로만 본다면 완벽하다.


이렇게 해서, 피카사가 와인에서 거의 완벽하게 돌아가는데... 딱 한가지. 문제점이 있다면!
'디스크에서 찾기(Ctrl-Enter)'를 클릭하면 노틸러스가 뜨는 것이 아니고, 와인 익스플로러가 뜬다는 것이다...
리눅스용 와인을 설치하면 당연히 노틸러스가 뜬다.
피카사에서 WINE 환경을 알아내는 것이 확인 되었으므로(위의 그림으로), WINE 환경에서 실행되었다면 익스플로러가 아니라 노틸러스를 불러주는 것으로 바꿔준다면 해결되리라 믿는다. 뭔가 방법이 있을까.. 생각을 해봤지만 내 선을 벗어난 일인 듯 하기도 하고.. 구글에서 해결해주지 않을까?
좀 더 써보다가 별 이상이 안보이는 듯 하면 WINE 이나 구글쪽에 보고를 해볼 생각이다.

그 외에 내가 쓰는 몇몇 프로그램들에서는 전혀 한글 문제를 찾지 못했다.
저런 설정이 EULA에 위배가 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뭐.. 되더라도 내가 그리 쓰겠다는데 뭐라할 사람이 있을지??

위 설정값은 이틀간의 삽질 끝에 알아낸 것이다.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았고, 흘깃 거린 적도 없음을 밝혀둔다.
혹시나 이런 방법이 이미 모두에게 알려진 방법인데 마치 나 혼자 알아낸 듯 뒷북을 치고 있는 거라면..
뉴튼과 라이프니츠, 또는 그레함 벨과 안토니오 무치, 요한 필립라이스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다.

..................................
위의 설정은 아래 파일을 받고, 레지스트리에디터(regedit)에서 '레지스트리 파일 가져오기'를 통해 불러오면 된다. 달리 따로 설정해 줄 것은 없다. Nanum 으로된 파일은 나눔고딕을 기본글꼴로 설정한 파일이고, UnDotum은 은돋움을 기본으로 한 것이다.





핑백

  • 아무도안 : WINE, 바탕과 굴림을 넘어.. 2010-02-23 19:11:27 #

    ... WINE 에서 한글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글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아래 글은 저 방법을 알아내기 전에 끄적여본 글이다... ............................................. ... more

  • 아무도안 : Wine 한 잔에 한글을.. 2010-02-23 19:11:52 #

    ... WINE 에서 한글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글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아래 글은 저 방법을 알아내기 전에 끄적여본 글이다... ............................................. ... more

  • 아무도안 : IrfanView 4.25 in Ubuntu (우분투에서 IrfanView) 2010-02-24 21:41:42 #

    ... 데.. IrfanView 는 적어도 내가 쓰는 용도로만 본다면 와인 안주로는 딱이다. 단지, 와인하고 별 탈이 없으려면 약간 설정을 해줘야 한다. 일단, 와인 설정은 이 글대로 하면 된다. IrfanView 설치는 어려울 것 없다. 늘 하던대로 진행하면 된다. 설치파일, 한국어 파일 모두 http://www.irfanview.ne ... more

  • 아무도안 : 우분투 12.04, 그리고 꽃삽질. 2012-04-04 20:31:35 #

    ... 한다.하여, 나눔고딕을 와인에서 기본값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나처럼 수동설치를 하든가 해야 하나보다. 또, 내가 전에 발견한 방법 http://nemonein.egloos.com/4682100 은 별 의미가 없어보인다.regedit 에서, Gulim, Tahoma 만 바꾸는 방법이면 다 잘되는 듯 하다. 적어도 내 ... more

  • Debian Squeeze에서 Wine 한글 설정 | PCholic? 2013-07-09 16:48:28 #

    ... WINE, 완벽(?) 한글 설정.. Picasa 한글판도 되더라. ... more

  • Linux | Pearltrees 2014-07-11 23:12:01 #

    ... Linux > Hyeon > Programing 아무도안 : WINE, 완벽(?) 한글 설정.. Picasa 한글판도 되더라. ** 우분투 13.10 이후.. (2014.01.16) 오래된 이 글을 찾는 분들이 꽤 계신다.이 방법대로 ... more

덧글

  • LoveNHate 2011/07/28 00:17 # 답글

    감사합니다!!
  • 아무도안 2011/08/01 09:24 #

    이런 오래된 글에 답글을 주시다니..
    고맙습니다~
  • 덕분에 2012/07/10 14:04 # 삭제 답글

    좋은 글꼴로 와인 구동합니다.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 아무도안 2012/07/12 23:26 #

    별 말씀을~
    널리 이롭게 써주시면 되지요~ ㅎㅎ
  • 오쇼 2012/12/17 23:25 # 삭제 답글

    감사합니다. :) 우분투 초보자입니다.
  • 아무도안 2012/12/19 19:24 #

    고맙습니다.
    우분투, 익숙해지면 편합니다. 이런저런 한계는 있지만요.
  • 길가풀꽃 2014/09/22 21:44 # 답글

    고마워요. 에버노트 포기했었는데 덕분에 가능해졌습니다.
    "FontSmoothingType"=dword:00000001 이걸 2로 바꾸어 주니 되는군요 :)
    아무튼 감사합니다 ^-^

    근데 잘 튕기거나... 한글이 안 써진다거나... 하는 문제가 갑자기 생기곤 하네요...
댓글 입력 영역

Google Analyze


LastFm

MathJax